필기⏰/경제

☑️생산가능곡선

르새 2025. 1. 14. 00:53

생산가능곡선

생산가능곡선과 기회비용

희소성으로 인한 선택은 소비뿐만 아니라 생산에도 발생한다. 생산에서 희소성과 선택의 문제는 생산가능곡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생산가능곡선이란 한 사회가 주어진 자원과 기술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생산할 수 있는 최대생산량을 나타내는 곡선이다. 생산가능곡선상의 모든 점들은 효율적인 생산의 점들이기 때문에 A점과 B점은 모두 효율적인 생산 상태이다

.

생산가능곡선에서도 선택의 문제는 발생한다. A점은 B점에 비해 Y재화는 많이, X재화는 적게 생산하는 점이다. 반면 B점은 A점에 비해 Y재화는 적게, X재화는 많이 생산하는 점이다. 생산을 많이 한다는 것은 노동 자본의 요소투입이 많다는 것이다. 노동과 자본도 부존량이한정된 희소한 자원이다. 따라서 어떤 재화를 얼마나 더 생산할 것인가의 결정,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요소투입량의 결정 등 생산에서도 선택의 문제가 발생한다.

생산에 투입될 부존 생산요소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곡선상에서 한 재화 생산을 늘리면 다른 한 재화 생산을 줄여야 한다. A에서 B로의 움직임과 같이 생산가능곡선상에서 움직임은 한 재화 생산을 늘리기 위해 포기해야 하는 다른 재화의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생산가능곡선은 기회비용과 관련이 있다.

 

 

생산가능곡선의 안쪽과 바깥쪽

 

생산가능곡선 상의 모든 점은 자원이 효율적으로 활용되는 점들이다. 만약 자원 중 일부가 효율적으로 활용되지 않았다면 생산가능곡선상의 생산량을 달성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생산가능곡선 안쪽의 생산점들은 자원이 비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점들이다. 반면 생산가능곡선 바깥의 점들은 기존의 주어진 자원만으로 달성할 수 없는 점들을 나타낸 것이다.

 

 

생산가능곡선의 이동

 

생산가능곡선은 자원과 기술이 주어져 있는 상황을 전제로 한다. 그러므로 주어진 자원의 양과 기술에 변화가 발생하면 곡선자체가 이동할 수 있다. 기술이 진보하거나, 부존 자원이 증가하면 생산가능곡선곡선이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반면 자연재해와 전쟁으로 부존자원이 소실되면 생산가능곡선은 안쪽으로 이동한다.

 

 

 

DP(Dangerous Point) | 실업과 생산가능곡선의 관계

실업이 감소하면 노동이 증가해서 생산가능곡선이 바깥쪽으로 이동할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실업이 증가한 상태는 모든 노동이 효율적으로 활용되지 못한 것으로, 생산가능곡선 안쪽에서 생산이 이뤄진 것이다. 생산가능곡선은 모든 부존자원이 효율적으로 이용된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생산가능곡선상에서 생산이 이뤄지고 있다면 완전고용 상태를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봐야 한다.

다만, 완전고용을 마찰적 실업이 없는 상태로 볼 경우 마찰적 실업이 줄어들어 자연 실업률이 하락하면 생산가능곡선이 바깥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찰적 실업이 줄어든다는 것은 구직자와 구인자의 정보 비대칭 문제가 줄어들고 서로 원하는 구인ㆍ구직이 늘어난 것으로, 노동시장의 효율성이 개선된 것으로 볼 수 있기때문이다.


[국가공인 1호 한경 TESAT]

생산가능곡선

[문제] 다음은 생산가능곡선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원점에 대해 오목하다.
(2) 생산가능곡선 내부에 있는 점은 생산이 비효율적으로 이뤄지는 점이다.
(3) 기술이 진보하거나 노동력이 증가할 경우 바깥쪽(오른쪽)으로 이동한다.
(4) 곡선의 바깥쪽에 있는 점은 현재 주어진 생산요소와 기술 수준으로 최대로 생산할 수 있는 점이다.
(5) 한 재화의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선 다른 재화의 생산량을 줄여야 하기 때문에 우하향하는 모습을 띤다.




[해설] 생산가능곡선(PPC)은 한 나라의 경제가 주어진 생산요소와 기술을 사용해 최대한 생산할 수 있는 산출물 조합을 나타낸 곡선이다.
일반적으로 한 재화의 생산량을 늘리면 다른 재화의 생산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생산가능곡선은 원점을 향해 오목한 형태로 우하향한다. 곡선 내부의 점은 주어진 생산요소와 기술을 사용해 더 많이 생산할 수 있는데도 덜 생산하는 비효율적인 생산점이다.

반면 곡선 밖의 점은 주어진 자원과 기술 수준으로 생산이 불가능하다. 생산기술이 발전하거나 경제가 성장하면 주어진 생산요소로 최대한 생산할 수 있는 산출물이 커지기 때문에 곡선이 원점에서 더 멀리 이동한다.

정답 (4)

[문제] 생산가능곡선이 원점에 대해 오목한 경우 한 재화의 생산이 증가할 때 그 재화의 기회비용은 어떻게 될까?

(1) 점점 증가한다.
(2) 점점 감소한다.
(3) 처음에는 증가하지만 나중에는 감소한다.
(4) 처음에는 감소하지만 나중에는 증가한다.
(5) 생산량과 관계없이 일정하다.
 
[해설] 생산가능곡선은 한정된 자원으로 생산 가능한 재화 묶음의 조합을 연결시킨 선을 말한다. 일반적인 생산가능곡선은 원점에 대해 오목하게 그려진다. 이는 생산 가능한 재화 조합 중에서 한 재화의 생산비율을 크게 하면 할수록 포기해야 하는 다른 재화의 생산량은 점점 더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한 재화의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기회비용은 커짐을 의미한다. 재화 묶음의 전체 생산 가능량이 늘어나면 생산가능곡선은 원점에서 점점 멀어져 우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정답 (1)

다음 그림은 보유하고 있는 생산요소를 모두 투입해 사과와 바나나만을 생산하는 어느 농부의 생산가능곡선이다. 이 생산가능곡선에 대해 옳게 설명한 것은?

(1) 바나나 1개에 대한 기회비용은 사과 2개이다.
(2) 사과 4개와 바나나 8개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다.
(3) 사과 2개와 바나나 4개를 동시에 생산할 수 없다.
(4)바나나 생산을 늘릴 때마다 추가로 포기해야 하는 사과의 양은점점 감소한다.
(5) A점에서 사과 1개를 추가로 더 생산하기 위해서는 바나나 2개를 반드시 포기해야만 한다.


해설
해설

생산가능곡선은 주어진 생산요소와 기술을 사용해 최대한 생산할 수 있는 산출물의 조합을 나타낸 곡선이다. 문제의 그림은 사과와 바나나의 생산 가능 조합으로 사과 1개에 대한 기회비용은 바나나 2개다.즉 바나나 8개를 생산할 때는 사과를 생산할 수 없고, 사과 1개를 추가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항상 바나나 2개를 포기해야 한다는 뜻이다.

정답(5)


[문제] 다음 표는 두 시기에 갑국과 을국이 X재와 Y재 1단위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노동 투입시간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다음 보기 중 이에 대한 분석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을국에서 X재의 기회비용은 증가하였다.
② 2000년과 2010년의 무역 형태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③ 갑국에서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X재보다 Y재가 더 크다.
④ 두 국가가 무역을 한다면 2000년에 갑국은 X재를 수입한다.
⑤ 노동 공급이 일정하더라도 생산가능곡선은 밖으로 이동한다.

 

[해설] Y재로 표시한 2000년 갑국의 X재 기회비용은 1.5,을국의 X재 기회비용은 1이다. 따라서 갑국은 X재를 수입하고 Y재를 수출한다. 2010년이 되면 갑국의 X재 기회비용은 2.0,을국의 X재 기회비용은 2.5로 바뀐다. 따라서 갑국은 X재를 수출하고 Y재를 수입한다. 정답 ②


🔗 https://eiec.kdi.re.kr/material/conceptList.do?idx=12

'필기⏰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의 균형, 가격 통제  (1) 2025.01.18
☑️공급량과 공급, 공급곡선  (0) 2025.01.18
☑️네트워크 효과  (0) 2025.01.18
☑️수요량과 수요, 수요곡선  (0) 2025.01.18
☑️기회비용  (0) 2025.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