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공급량)의 결정요인
공급량의 변화: 가격(P), 가격과 공급량은 비례 관계
공급의 변화 요인
생신요소의 가격
기타: 기술 진보, 기업의 목표, 조세, 정부보조금, 미래 가격변도엥 대한 기대/예상 -> 원가 개념으로 접근하면 쉽다.
ex) 상품 가격이 비싸진다고? 조금 기다렸다가 팔래. 가격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하면, 공급은 줄어든다.
[다시 풀어보기]
그림의 (가)는 감자 시장의 균형점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요인이 될 수 있는 사례로 적절한 것은?(단, 감자 시장은 공급 법칙을 따른다.)
① 감자 재배 기술이 발전했다.
② 소비자의 감자 선호가 증가했다.
③ 적절한 기후로 감자의 수확량이 증가했다.
④ 대체 관계에 있는 고구마의 가격이 상승했다.
⑤ 태풍으로 전국의 감자밭에 침수피해가 발생하였다.
[해설] 수요곡선이 주어진 상태에서 감자 시장이 공급의 법칙을 따를 때, (가)와 같이 이동하는 경우는 공급곡선이 좌측으로 이동할 때 발생한다. 감자 재배 기술의 발전은 감자 공급의 증가 요인이다. 소비자의 감자에 대한 선호 증가, 대체 관계에 있는 고구마의 가격 상승은 감자 수요의 증가 요인이다. 자연재해에 따른 감자밭 침수는 감자 공급의 감소요인이다. 정답 ⑤
복잡하게 생각하지 말고, 그래프를 보면 감자의 수량이 없어지고 가격이 올랐다. 선지에서 살펴보면 5번 밖에 없다.
문제. 아래 그래프는 최초의 E점에서부터 나타나는 수박 시장의 변화를 표현한 것이다. (가)수박 가격이 상승한 경우와 (나)수박 농사에 필요한 비료의 가격이 상승한 경우의 변화 방향을 (가), (나) 순서대로 바르게 짝지은 것은?
① ⓒ - ⓐ
② ⓒ - ⓑ
③ ⓓ - ⓐ
④ ⓓ - ⓑ
⑤ ⓓ - ⓒ
해설. 수박 가격이 상승한 (가)의 경우 공급곡선 상에서 이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공급량의 변화’라 한다.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공급량이 증가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공급량이 감소한다. 문제에서 수박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E점에서 공급곡선 상에서 이동하여 ⓓ로 이동한다.
수박 농사에 필요한 비료 가격이 상승한 (나)의 경우 공급곡선 자체의 이동에 영향을 준다. 이를 ‘공급의 변화’라고 한다. 공급곡선 자체의 이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기술 수준, 생산요소의 가격, 다른 재화의 가격, 경기전망 등이 있다. 비료 가격이 상승하면 수박 농사에 대한 생산비용이 증가하여 수박 공급이 감소한다. 따라서 ⓐ로 공급곡선이 이동한다.
정답 ③
[다시 풀어보기] 공급곡선 이동의 원인 문제
시장에서 어떤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면서 동시에 거래량이 증가했다. 이 재화가 정상재라고 한다면 다음 보기 중 이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은? (1) 이 상품의 생산과 관련된 기술의 발전 (2) 이 상품과 대체관계에 있는 상품의 가격 상승 (3) 이 상품과 보완관계에 있는 상품의 가격 상승 (4) 이 상품의 생산에 투입되는 노동자의 임금 하락 (5) 이 상품을 주로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소득 감소 해설 |
재화의 수요 증가는 수요곡선 자체를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재화 가격이 상승하고 거래량이 증가한다. 수요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는 △소비자의 소득 증가 △대체재의 가격 상승 △보완재의 가격 하락 △재화 가격 상승 기대 △소비자의 선호 증가 등이 있다. 이들 결정 변수 중 하나라도 변하면 수요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생산 기술의 발전, 생산비용 하락, 판매자 수 증가 등은 공급의 증가 요인으로 공급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정답 (2)
가격 상승, 거래량 증가
이걸 보고 수요 증가로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헷깔리면 각 선지가 어떤것을 의미하는지 적어놓고 골라보자.
만약 공급증가라면 가격이 하락했을 것이다.
'필기⏰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요의 탄력성(가격/소득/교차), 공급의 가격탄력성 (3) | 2025.01.30 |
---|---|
✅시장의 균형 (1) | 2025.01.18 |
☑️네트워크 효과 (0) | 2025.01.18 |
✅수요량과 수요, 수요곡선 (0) | 2025.01.18 |
☑️생산가능곡선 (0) | 2025.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