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기⏰/경제

✅시장의 균형

르새 2025. 1. 18. 10:44

시장의 불균형

초과수요량: 어떤 가격 수준에서 소비자들의 수요량이 생산자들의 공급량보다 많아 상품의 부족현상이 발생할 때 그 부족분을 의미

초과공급량: 어떤 가격 수준에서 생산자들의 공급량이 소비자들의 수요량보다 많아 상품이 남아돌 때 그 잉여분을 의미

시장의 균형

시장 수요곡선과 시장 공급곡선이 만나는 점 E에서 시장의 균형이 달성

시장 균형의 변화

아래 문제들을 그래프 안 그리고 눈으로 풀 수 있어야 한다.

시장수요/시장공급/균형가격/균형거래량의 변화


[국가공인 한경 TESAT]

[문제] 다음 보기의 수요 공급에 대한 설명 중 성격이 같은 것끼리 올바르게 분류한 것은?

가. 농산물 가격이 오르자 농산물 수요가 줄어들었다.
나. 임금 상승은 농산물 수요를 늘린다.
다. 육류 가격 상승으로 농산물 수요가 늘어났다.
라.임금 상승으로 노동 수요가 줄었다.
마.환율이 상승하자 외환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었다. 

① 가,마/나,다,라
② 가,나,다/라,마 
③ 가,라,마/나,다
④ 가,라/나,다,마 
⑤ 가,다,마/나,라

[해설] 한 재화의 가격이 변하면 그 재화의 수요량이 바뀐다. 농산물 가격이 올라 농산물 수요가 줄어드는 것,임금 상승에 따른 노동 수요 감소,환율 상승으로 인한 외환 수요 감소 등이 이런 경우다. 내생변수의 변화로 수요곡선상의 점의 이동이 나타난 것이다.

이와 달리 외생변수의 변화로 수요곡선 자체가 이동하는 경우도 있다. 임금 상승이 농산물 수요를 증가시키고,육류 가격 상승이 농산물 수요를 늘리는 게 그런 사례다. 정답 ③


[다시 풀어보기]
 

[문제]

어느 재화 X의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은 다음과 같다. 이때 이 재화의 수요와 공급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D = 110 - 10Px ▶ S = -100 + 20Px (Px는 X재화의 가격)

(1) 균형 수급량은 40이다.
(2) 이 재화의 균형가격은 7원이다.
(3) 재화의 가격이 9원일 경우에는 초과 공급이 발생한다.
(4) 재화의 가격이 6원일 때는 30개의 초과 수요가 존재한다.
(5)재화의 가격을 종축에, 수량을 횡축에 놓고 공급곡선과 수요곡선을 그릴 경우 공급곡선의 기울기는 수요곡선의 기울기보다 가파르다.


[해설]

 시장경제에서 한 재화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점에서 결정된다. 주어진 수요곡선(D = 110 - 10Px)과 공급곡선(S = -100 + 20Px)이 일치하는 점의 가격은 110 - 10Px = -100 + 20Px에서 Px = 7이다. 따라서 이 재화의 균형가격은 7원이다. 7원일 때 균형 수급량은 110 - 10×7=40이다. 재화의 가격이 균형가격(7원)보다 위인 9원일 경우엔 공급이 수요보다 많은 초과 공급이, 반대로 재화의 가격이 균형가격보다 낮은 6원일 경우에는 초과 수요가 발생한다. 가격이 6원일 경우엔 수요는 110 - 10×6 = 50, 공급은 -100 + 20×6 = 20으로 30개의 초과 수요가 존재한다. 공급곡선의 기울기는 1/20, 수요곡선의 기울기는 1/10로 수요곡선의 기울기가 더 가파르다.
 

정답 (5)


문제. 수요와 공급의 법칙이 성립하는 시장에서 나타나는 균형과 관련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수요와 공급이 증가하게 되면 균형거래량은 반드시 증가한다.

 시장에서 균형이 달성되면 자원 배분의 효율성이 충족된다.

 초과수요가 존재하면 가격이 하락하면서 시장은 균형 상태로 수렴하게 된다.

 시장이 균형 상태에 도달하면 수요량과 공급량은 일치한다.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수요가 증가하면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이 모두 증가한다.

 

해설. 수요·공급 곡선이 교차하는 균형점에서 시장거래량과 시장가격이 정해진다. 이를 수요·공급의 법칙이라 한다. 시장에서 수요량과 공급량이 일치하는 균형을 이룰 때 자원 배분의 효율성이 충족된다. 수요와 공급이 증가해 두 곡선 모두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균형거래량은 증가하고, 균형가격은 수요·공급 곡선의 상대적 이동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수요가 증가하여 수요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균형가격과 균형 거래량 모두 증가한다. 초과수요가 존재하면 가격은 상승하면서 시장 균형 상태로 수렴해 간다.

 

정답 

굳이 그래프를 그리지 않아도 상황을 상상하면 알 수 있다.


문제. 빵과 사과잼은 보완 관계에 있으며, 오렌지와 사과는 대체 관계에 있다고 하자. 그런데 최근 새로운 사과 재배법이 도입되어 사과의 생산원가가 대폭 하락하고 생산성이 향상되었다고 하자. 이때 빵과 오렌지 시장에서 발생할 현상으로 알맞은 것은?

 

 빵 가격 하락  오렌지 가격 상승

 빵 가격 하락  오렌지 거래량 증가

 빵 거래량 증가  오렌지 가격 하락

 빵 거래량 감소  오렌지 가격 상승

 빵 거래량 불변  오렌지 거래량 감소

 

해설. 새로운 사과 재배법으로 사과 생산성이 향상되면 사과 공급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사과 가격이 하락하면서 사과를 원료로 하는 사과잼의 가격도 하락할 것이다. 그러면 보완재인 빵에 대한 수요는 증가(빵 수요 증가빵 가격 상승과 거래량 증가)할 것이다. 하지만 대체재인 오렌지의 수요는 줄어들 것이다. 이는 오렌지의 가격 하락과 거래량의 감소를 가져올 것이다. 정답 


[문제] 다음 <보기> 상황에서 마늘의 균형점(E)은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는가? 

                                      < 보     기 >
* 세계 10대 식품으로 마늘이 선정되어 마늘에 대한 선호가 높아졌다. 
* 정부는 판매량이 대폭 증가할 것을 대비하여 수입을 늘렸다.
* 다른 조건은 일정함. 



① A ② B ③ C ④ D ⑤ F 
 

해설 <보기>에서 세계 10대 식품으로 마늘이 선정되어 선호가 높아졌으므로 마늘 수요가 증가한다. 또한 정부가 마늘 수입을 대폭 늘렸으므로 마늘의 공급이 증가한다. 따라서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해 마늘 시장의 균형점 E는 C로 이동하게 된다. 정답 

순간 B로 착각해서 잘못 풀었다. 공급이 오른다고 무의식으로 위에 그어버렸는데 공급이 오르면 공급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정답은 C.


[국가공인 1호 한경 TESAT]

[문제] 다음 그래프는 A사의 대형 TV에 대한 연도별 시장 가격과 거래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분석을 모두 고른 것은?

[ A사의 대형 TV의 시장 가격과 거래량이 모두 증가한 표]

가. 2009년에 비해 2010년 A사 대형 TV 판매 수입은 증가하였다.
나. 2009년부터 2010년까지의 변화는 A사의 적극적 광고 마케팅으로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질 경우에 나타날 수 있다.
다. 2010년부터 2011년까지 변화는 TV 부품 단가가 인상될 때 나타날 수 있다.
라. 2010년부터 2011년까지 변화는 A사가 공장 설비의 일부를 대형 TV에서 소형 TV 생산으로 전환할 때 나타날 수 있다.

① 가, 나  ② 가, 다  ③ 다, 라  ④ 가, 나, 라  ⑤ 나, 다, 라

[해설] 2009년에 비해 2010년의 A사 대형TV의 시장 가격과 거래량이 모두 증가했으므로, 판매 수입(=가격×거래량)은 늘어났다. 그 원인으로 광고 마케팅이 포함될 수 있다. 제품 선호도가 늘면서 수요를 증가시켜 가격을 끌어올리고 판매량도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의 설명과 같이 부품 단가가 인상될 경우 생산비 부담이 증가해 결국 가격은 상승하고 거래량이 줄어들 수 있는 요인이 된다. (라)와 같이 대형TV 생산 공장 일부가 소형TV로 전환되면 대형TV 공급이 줄어들기 때문에 가격은 올라가고 거래량은 감소할 수 있는 요인이 된다. 정답①

 

가격 상승, 거래량 증가  -> 수요 증가를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