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기⏰/경제

☑️소비자잉여, 생산자잉여

르새 2025. 2. 4. 06:31

경제학에서 말하는 후생은 수요.공급 곡선을 통해 구할 수 있는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 둘의 합을 사회적 후생 또는 편익이라 한다.

 

수요곡선의 높이: 소비자가 최대한 지급할 용의가 있는 금액

공급곡선의 높이: 생산자가 최소한 받아야겠다고 생각하는 금액

 

소비자잉여: 시장에서 교환을 통해 소비자가 얻는 이득

생산자잉여: 시장에서 교환을 통해 생산자가 얻는 이득급 곡선을 통해 구할 수 있는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 둘의 합을 사회적 후생 또는 편익이라 한다.

 

수요곡선의 높이: 소비자가 최대한 지급할 용의가 있는 금액

공급곡선의 높이: 생산자가 최소한 받아야겠다고 생각하는 금액

 

수요곡선의 기울기가 급해서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작을수록 소비자잉여의 크기는 증가한다.

공급곡선의 기울기각 급해서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작을수록 생산자잉여의 크기는 증기한다.

👉그래프를 그려도 이해하기 쉽고, 탄력적일수록 갑이기 때문에 잉여도 크다.

 



문제. 소비자잉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소비자잉여를 극대화하는 자원배분을 효율적이라고 한다.

 소비자잉여는 소비자가 시장에 참여하여 얻는 이득을 나타낸다.

 수요와 공급의 균형 상태에서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의 합이 극대화된다.

 소비자잉여는 수요곡선의 아래, 가격 수준 윗부분의 면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소비자잉여란 구입자의 지불용의에서 구입자가 실제로 지불한 금액을 뺀 나머지 금액을 말한다.

 

해설. 소비자잉여란 소비자가 어떤 재화를 구입하기 위해 지불할 용의가 있는 최대 가격에서 실제 지불한 가격을 뺀 금액이다. 이는 소비자가 시장에서 상품을 구입함으로써 얻는 이익의 크기를 나타낸다. 소비자가 수요곡선 상에 지불할 용의가 있는 최대 가격은 지불용의가격, 실제로 소비자가 시장가격에 구입한 가격을 실제 지불가격이라 한다. 시장 수요와 공급의 균형으로 정해진 가격을 통한 거래에서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의 합이 가장 커지고 자원배분이 가장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정답 


[다시 풀어보기] 사과의 가격은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된다. 정부가 사과 생산자에게 보조금을 지급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소비자잉여가 증가한다.
② 생산자잉여가 증가한다.
③ 사과의 소비량이 증가한다. 
④ 공급곡선이 아래로 이동한다. 
⑤ 전체적인 사회후생수준이 증가한다.

[해설] 소비자잉여는 소비자가 누리는 가치에서 소비자가 지불한 금액을 뺀 것이다.
가령 철수와 영희, 경철은 설에 받은 세뱃돈으로 게임기를 사려 한다. 게임기를 사기 위해 철수와 영희, 경철이 최대로 지불할 의사가 있는 금액(지불용의)은 각각 10만원, 8만원, 6만원이다. 그런데 시장에서 게임기 가격은 8만원이다. 이때 철수는 게임기를 구입함으로써 2만원의 소비자잉여를 누렸다. 10만원이라도 지불할 용의가 있었지만 8만원만을 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생산자잉여는 공급자가 실제로 받은 금액에서 공급자가 그 물건을 제공하는 비용을 뺀 나머지 금액이다. 정부가 사과 생산자에게 보조금을 지급하면 소비자는 시장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사과를 살 수 있어 소비자잉여가 증가하고, 생산자도 사과를 재배하는 데 비용을 줄일 수 있어 생산자잉여도 증가한다.

사과의 시장가격이 싸져 사과 소비량이 늘어나고, 사과 재배가 증가해 공급곡선이 아래로 이동한다. 하지만 보조금 지급으로 전체적인 사회후생수준이 증가하지는 않는다. 정부의 보조금 크기가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증가분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정답 ⑤